달의 모습이 변하는 이유
달은 지구를 공전하며 이때 달은 달과 지구, 태양와 달, 달의 일몰 및 일출 시각, 그리고 달의 빛나는 부분의 위치 등이 변하게 됩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달은 한달간 다양한 모습을 보이게 됩니다. 먼저 달의 상태는 달과 지구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변하게 되는데 달의 주기는 약 29.5일로 이 기간 동안 달은 지구 주변을 한 바퀴 돕니다. 이때, 달이 지구와 가장 가까워지는 위치를 보름달이라고 하며 달은 지구에서 볼때 가장 크게 보입니다. 보름달 이후에는 달과 지구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달의 크기가 작아집니다. 또한, 달은 태양과 달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모습이 변합니다. 달과 지구, 태양이 한 직선상에 있을 경우 태양과 달의 인력 작용이 가장 크기 때문에 조금 더 크고 밝은 "보름달"이 관측됩니다. 그리고 태양과 달이 서로 직각을 이룰 때에는 "반달"의 모습이 관측됩니다. 마지막으로, 달의 일몰 및 일출 시각과 달의 빛나는 부분의 위치에 따라 달의 모습이 변합니다. 이는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 지구와 달의 자전, 그리고 달의 궤도 경사도 등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이러한 이유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한 달동안 달이 다양한 모습을 보이게 되는데 관측자의 위치, 기상 조건 등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신월
신월(New Moon)은 달이 지구와 일직선 상에 위치하여 지구에서 볼 때, 달의 일부도 보이지 않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때는
달의 앞면이 지구를 향하고, 밤하늘에서는 달이 어둠 속에 사라진듯한 모습을 보입니다. 신월은 보통 한 달의 시작을 나타내며 달과 태양이 거의 같은 방향에 위치하게 되어 달의 반대편이 가장 어두워집니다. 이러한 현상은 일식과 관련이 있으며 일식은 태양과 달의 일직선 상에 지구가 위치하게 되어 달이 태양에 가려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달이 신월 상태일때는 별들과 함께 밤하늘에서 아름다운 풍경을 만들어 냅니다.
초승달
초승달(Waxing Crescent)은 달이 신월이후 지구에서 처음으로 조금씩 늘어나 보이는 달의 모습을 말합니다. 신월 이후 달이 계속해서 지구와 태양 사이를 지나며, 달의 앞면에 태양의 빛이 조금씩 비추어져 달의 밝은 부분이 늘어나게 됩니다. 초승달은 달이 처음으로 지구에서 조금씩 늘어나 보이는 시기이기 때문에 밤하늘에서는 보통 매우 얇은 반달 모양으로 보입니다. 이때 달의 밝은 부분은 서쪽의 지평선 가까이에 위치하며 이후 밤마다 조금씩 더 커지면서 달의 모양이 변화해 갑니다. 초승달은 새벽 또는 일몰후 서쪽 하늘에서 볼 수 있습니다. 초승달은 "파노라마 달" 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초승달이 하늘에서 가장 크게 보이며, 달이 조명된 지형을 시원하게 비추어지는 환상적인 풍경을 보여준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별명입니다.
상현달
상현달(First Quarter)은 초승달 이후 달이 지구와 태양 사이를 지나면서 지구에서 바라보면 달의 왼쪽 절반만 태양으로부터 비춰져 밝게 빛나 보이는 모습을 말합니다. 상현달은 초승달 이후 달이 계속해서 지구와 태양 사이를 지나며 늘어나면서 나타나 저녁 무렵부터 서쪽에서 높이 떠오르며 밤이 깊어질수록 더 높이 올라가게 됩니다. 상현달은 초승달과 달리 절반 이상이 밝게 빛나기 때문에 달의 모양이 상대적으로 뚜렷하게 보입니다. 도한 상현달은 태양과 달이 서로 수평이 되는 시점이기 때문에 태양과 달의 조합을 이용한 천문학적 측정에 활용되어 달과 태양의 운행과 움직임을 이해하는 데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보름달
보름달(Full Moon)은 달이 지구와 태양 사이를 지나, 지구로부터 바라보면 태양이 비출 때 달의 전체가 밝게 빛나는 모습을 말하며달이 지구와 태양 사이에서 정확히 반대편에 위치하게 됩니다. 보름달은 밤하늘에서 가장 밝게 빛나는 달의 모습으로 하늘에 흰색으로 빛나게 되며 지구와 태양, 달의 위치가 일직선상에 있는 때에 일어납니다. 보름달이 뜨는 시간은 해가진 후 하늘이 어두워지면서 달이 높게 올라가기 시작하고, 보름달이 지는 시간은 해가 떠오르면서 달이 서서히 지평선 아래로 내려가기 시작하는 시간입니다. 보름달은 밤하늘에서 지금까지 가장 많이 관측되어 많은 문화와 전설에서 중요한 소재가 되어 왔습니다. 보름달은 달이 가장 빛나기 때문에 초경(달경)을 이용한 관측이나 밤하늘에서의 천체 관측 등에 매우 적합하며 달력을 만드는 데에도 이용되고 있습니다.
하현달
하현달(Third Quarter)은 보름달 이후로 점점 어두워져가는 달의 모습을 말합니다. 하현달은 달이 지구의 서쪽 반구로 점차 이동하면서 보름달보다 조금 작아지고, 그림자의 일부가 조금씩 더 커지게 되어 초승달 모양과 반대의 모양을 띄게 됩니다. 하현달은 보름달 이후 7~8일 정도의 기간 동안 볼 수 있으며 밤하늘에서 반원 모양을 띄고 있습니다. 하현달이 떠오르는 시간은 해가 진 후 하늘이 어두워지면서 달이 서서히 떠오르기 시작하는 시간입니다. 반면에 하현달이 지는 시간은 해가 떠오르면서 달이 서서히 지평선 아래로 내려가기 시작하는 시간입니다.
그믐달
그믐달(Waning Crescent)은 하현달 이후 마지막으로 밤하늘에서 볼수 있는 달의 모습입니다. 이 때 달은 신월 이후로 계속 작아지고 어둡게 변하며 마지막으로 지구에서 본 달의 모양은 반원보다 작은 곡선 모양이 됩니다. 그믐달은 지구와 달의 상대적 위치가 바뀌는 시기입니다. 달은 신월 이후 계속 지구와 멀어져서, 지구에서 본 달의 크기는 점점 작아지게 됩니다. 달의 어둡고 작아지는 모습은 그믐달 이후에도 계속됩니다. 그믐달은 신월 이후 약 3주가 지난 후에 볼 수 있으며, 보통 일출 이전에 서서히 떠오르기 시작합니다. 달이 떠오를 때는 먼저 황혼 시간에 지평선 위로 서서히 떠오르기 시작하나 일출 이후에도 서서히 떠오를 때도 있습니다. 그믐달은 달이 서서히 작아지고 어두워져 가는 것을 볼 수 있는 마지막 기회이므로, 밤하늘 관측을 즐기는 사람들에게는 중요한 관측 대상 중 하나입니다.